(1)토양유기물의 기능
① 암석의 분해 촉진 : 유기물이 분해될 때에 여러 가지 산을 생성하여 암석의 분해를 촉진한다.
② 양분의 공급 : 분해하여 질소ㆍ인ㆍ칼륨ㆍ칼슘ㆍ마그네슘ㆍ규소 등의 다량원소와 망간ㆍ붕소ㆍ구리ㆍ코발트ㆍ아연 등의 미량원소를 공급한다.
③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공급 : 유기물이 분해할 때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는 작물 주변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높여서 광합성을 조장한다.
④ 생장촉진물질의 생성 : 유기물이 분해할 때에는 호르몬ㆍ비타민ㆍ핵산물질 등의 생장촉진물질을 생성한다.
⑤ 입단의 형성 : 유기물이 분해해서 생기는 부식콜로이드와 미숙유기물은 토양입단의 형성을 조장하여 토양의 물리성을 개선한다.
⑥ 보수력ㆍ보비력의 증대 : 부식콜로이드는 양분을 흡착하는 힘이 강하다. 입단과 부식콜로이드의 작용에 의해서 토양의 통기ㆍ보수력ㆍ보비력이 증대한다.
⑦ 완충능의 증대 : 부식콜로이드는 토양반응을 급히 변동시키지 않으므로 토양의 완충능을 증대시킨다. 또한, 유기물의 부식은 알루미늄의 독성을 중화하는 작용이 있다.
⑧ 미생물의 번식조장 : 미생물의 영양원이 되어 유용미생물의 번식을 조장한다.
⑨ 지온의 상승 : 토양색을 검게 하여 지온을 상승시킨다.
⑩ 토양보호 : 유기물을 피복하면 토양침식이 방지되고, 또 유기물 시용으로 토양입단이 형성되면 빗물의 지하침투를 좋게 하여 토양침식이 경감된다.
⑪ 양이온 치환용량(CEC) 증대
⑫ 중금속 유해작용 감소(Al, Cu 등)
(2)산성토양에 대한 작물의 적응성
① 극히 강한 것: 벼ㆍ귀리ㆍ루핀ㆍ토란ㆍ아마ㆍ기장ㆍ땅콩ㆍ감자ㆍ봄무ㆍ호밀ㆍ수박 등
②강한 것: 메밀ㆍ당근ㆍ옥수수ㆍ목화ㆍ오이ㆍ포도ㆍ호박ㆍ딸기ㆍ토마토ㆍ밀ㆍ조ㆍ고구마ㆍ베치ㆍ담배ㆍ수수 등
③ 약간 강한 것: 평지(유채)ㆍ피ㆍ무 등
④ 약한 것: 보리ㆍ클로버ㆍ양배추ㆍ근대ㆍ가지ㆍ삼ㆍ겨자ㆍ고추ㆍ완두ㆍ상추 등
⑤ 가장 약한 것: 알팔파ㆍ자운영ㆍ콩ㆍ팥ㆍ시금치ㆍ사탕무ㆍ셀러리ㆍ부추ㆍ양파 등
(3)토양 산성화의 원인
토양콜로이드(土壤膠質)가 Ca2+, Mg2+, K+, Na+ 등으로 포화된 것을 포화교질(飽和膠質 ; saturated colloid)이라 하고, H+도 함께 흡착하고 있는 것을 미포화교질(未飽和膠質 ; unsaturated colloid)이라고 한다. 토양 중에 미포화교질이 많은 경우에 중성염이 들어가면 H+이 생성되어 산성을 나타낸다.
[colloid] H++KCl ⇄ [colloid] K++HCl(H++Cl)
① 빗물에 의한 염기용탈 : 빗물에 의하여 치환성 염기의 용탈로 인한 미포화교질의 다량 생성(토양산성화의 주된 요인)으로 산성화된다.
② 산성비료의 연용 : 유안(황산암모니아), 황산칼리, 염화칼리ㆍ인분뇨ㆍ녹비 등 생리적 산성비료 등을 연용하면 토양 중에 누적되어서 산성화한다.
③ 산성물질의 가입 : 아황산가스 등의 유입(화학공장) 등도 토양산성화를 조장한다.
④ 토양유기물의 분해시 각종 유기산ㆍ탄산부식산 등에 의해 토양산성화를 조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