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정하중(固定荷重, dead load, 사하중):구조물의 자중
①구조체와 이에 부착된 비내력 부분 및 각종 설비 등의 중량에 의하여 구조물의 존치기간 중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연직하중
②조적조 칸막이벽은 고정하중에 포함된다.
③장기하중
(2) 활하중(積載荷重, live load)
①활하중은 점유·사용에 의하여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최대의 하중이어야 한다.
②건축물의 각 실별․바닥별 용도에 따라 그 속에 수용되는 사람과 적재되는 물품 등의 중량으로 인한 수직하중
③공동주택의 공용실:5kN/㎡, 주거용 건축물의 거실:2.0kN/㎡, 발코니 : 출입 바닥 활하중의 1.5배 (최대 5.0kN/m2)
④건축구조물은 등분포활하중과 집중활하중 중에서 구조부재별로 더 큰 하중효과를 발생시키는 하중에 대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⑤가동성 경량칸막이벽은 활하중에 포함된다.
⑥ 지붕활하중을 제외한 등분포활하중은 부재의 영향면적이 36m² 이상인 경우 저감할 수 있다.
(3) 설하중(雪荷重, snow load)
①기본지상설하중은 재현기간 100년에 대한 수직 최심적설깊이를 기준으로 한다.
②설하중의 작용이 예상되는 지붕과 벽면이나 기타 구조물의 표면에 대해서는 설하중의 영향을 고려한다.
③설계용 지붕설하중은 기본지상설하중을 기준으로 하여 기본지붕설하중계수, 노출계수, 온도계수, 중요도계수 및 지붕의 형상계수와 기타 재하분포상태 등을 고려하여 산정한다.
④최소 지상설하중은 0.5kN/m2으로 한다.
⑤발코니 등에 눈이 불어 닥치게 되는 경우, 불어온 눈의 하중을 고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