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토양 일반
① 토성 ② 토양구조 ③ 토층 ④ 토양반응 ⑤ 유기물 및 무기성분 ⑥ 토양수분과 토양공기 ⑦ 토양미생물 ⑧ 유해물질
2. 토성
토성이란 토양 입자의 입경에 따라 나눈 토양을 다시 모래와 미사 및 점토의 구성비로 구분한 것을 말한다.
3. 토양의 기계적 조성
(1) 토양 3상: 유기물과 무기물인 고상(固相, 흙), 토양공기 기상(氣相) 및 토양 수분인 액상(液相)을 말한다.
(2) 토양입자의 분류: ① 자갈 ② 모래 ③ 점토
4. 단립(낱알)구조
① 토양을 이루는 입자들이 서로 덩어리를 이루지 않고 개개로 흩어져 있는 상태.
② 토양입자가 응집되어 있지 않고 입자 하나하나가 떨어져 있는 상태로 작물생육에는 불리한 상태임.
③ 대공극이 많고, 소공극이 적어 토양의 통기성과 투수성은 좋으나 보수.보비력은 작다.
④ 모래, 미사 등
5. 입단(떼알)구조
① 단일입자가 결합하여 2차 입자가 되고, 다시 3, 4차 등으로 결합되어 입단을 구성한다.
② 토양수의 이동.보유 및 공기유통에 알맞은 공극을 가지고 있다.
③ 유기물과 석회가 많은 표토층에서 많이 나타난다.
④ 대공극과 소공극이 모두 많아 통기성과 투수성이 양호하고 보수.보비력이 커서 작물생육에 가장 알맞은 구조이다.
6. 입단의 형성
① 유기물과 석회의 시용 ② 콩과작물의 재배 ③ 토양의 피복 ④ 토양개량재의 사용
7. 입단의 파괴
① 경운 ② 입단의 팽창과 수축 ③ 비.바람 ④ 나트륨이온의 첨가
8. 토층
토양이 어느 정도 두꺼운 층을 이루게 되면 토양을 구성하는 토양모재들과 그들의 색깔에 따라서 두 개 이상의 층으로 구분되는데 이를 토층이라 하며, 토양단면이라고도 한다.
9. 경지의 토층과 작물생육
- 경지의 토층은 작물생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 작토의 질적.양적 문제는 작물 뿌리의 발달과 생리작용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일반적으로 작토층은 심경을 통해 깊게 파는 것이 좋다.
- 경지의 토양
- 너무 치밀한 심토
- 작물에 따라 알맞은 토성을 선택해야 하며, 토성에 따라 배수를 다르게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