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하기
이번시간에 배운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해보세요.
1. 통기관 설치목적
① 트랩의 봉수 보호(사이펀작용, 분출작용)
② 배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③ 관내의 기압을 일정하게
④ 신선한 공기를 유통시켜 관내 청결을 유지

2.통기관의 종류
① 각개통기관:가장 이상적인 통기방식, 시설비 비싸다. 관경은 그것이 접속되는 배수관 관경의 1/2이상으로 한다.
②루프통기관(회로, 환상통기관):2개 이상 최대 8개까지(대변기 3개), 길이는 7.5m 이내(최상류기구에 통기관 접속)※ 회로통기관의 관경은 배수수평지관과 통기수직관 중 작은쪽 관경의 1/2 이상으로 한다.
③ 도피통기관:루프통기관의 통기를 촉진(최하류기구에 통기관 접속)
④ 습식통기관(습윤통기관):통기+배수
⑤ 신정통기관:대기 중에 개방하는 통기관(배수수직관을 연장함, 관경축소 없음)
⑥ 결합통기관:배수수직관과 통기수직관을 접속(지름 50㎜ 이상, 통기수직관과 배수수직관 중 작은 쪽 관경이상) 5개 층마다 설치
3.배관설계 및 시공상 주의사항
① 대변기는 될 수 있는 대로 수직관 가까이에 배치해야 한다.
② 통기관은 오버플로우선 150mm이상으로 입상시킨 다음 통기수직관에 연결한다.
③ 2중 트랩을 만들지 말아야 한다.
④ 오버플로우관은 트랩의 유입구측에 개구한다.
⑤ 바닥 아래의 통기배관은 금지한다.
⑥ 간접배수통기관은 단독으로 대기 중에 개구한다.
⑦ 오물정화조의 개구부는 단독으로 개구한다.
⑧ 빗물수직관에 배수관을 연결하여서는 안 된다.
⑨ 통기수직관과 빗물수직관은 겸용을 금한다.
⑩ 오수피트나 잡배수피트는 각 개통기관을 설치한다.
⑪ 통기관과 실내환기용 덕트와 연결해서는 안 된다.

4. 청소구
(1) 배수관이 막혔을 때 이것을 점검 수리하기 위해 배관 굴곡부나 분기점에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
(2) 청소구를 필요로 하는 장소
① 배수 수평지관 및 배수 수평주관의 기점
② 배수 수평관이 긴 경우, 배수관의 관지름이 100mm 이하인 경우는 15m 이내, 100mm를 넘는 경우는 매 30m마다
③ 배수관이 45도를 넘는 각도로 방향을 변경한 개소
④ 배수 수직관의 최상부 및 최하부 또는 그 부근
⑤ 배수 수평주관과 부지 배수관의 접속개소에 가까운 곳
⑥ 상기 이외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개소
(3) 모든 청소구는 배수의 흐름과 반대 또는 직각으로 열 수 있도록 설치한다.
(4) 청소구의 크기는 배수관지름이 100mm 이하인 경우에는 배수관지름과 동일한 지름으로 하고 10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100mm로 한다.
00: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