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덱스이미지
정리하기
학습내용에 대하여 간략하게 정리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배수 및 통기설비
1.배수의 분류
(1) 사용 목적에 의한 분류
①오수 계통 : 수세식 변소 등으로부터 오수가 흐르는 계통으로 반드시 정화 후 방류해야 한다(대·소변기, 오물싱크, 비데 등).
②잡배수 계통: 건물 내의 오수 이외의 잡배수(구정물)가 흐르는 계통(세면기, 싱크, 욕조 등)
③우수 계통 : 지붕에서 빗물을 옥외로 배수하는 계통
④특수배수 계통 : 수은, 방사능 같은 유독·유해한 배수가 흐르는 계통
(2) 사용 개소에 의한 분류
①옥내배수:건물 내의 배수 및 건물의 외벽에서 1.0m까지의 배수
②옥외배수:옥내 배수 이외의 배수
(3) 중력배수: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의 중력에 의한 배수로 대부분의 일반배수가 여기에 속한다.
(4) 기계배수:지하층과 같이 배수 집수정이 공공하수도관보다 낮을 경우 배수펌프를 사용하여 공공하수도관으로 퍼올리는 강제배수이다.
(5) 간접배수:냉장고, 세탁기, 공기조화기, 수영장 등의 배수방식으로 배수관에 바로 연결하지 않고 기구로부터의 배수관에 물받이 공간을 두고 배수하는 방식이다.
2. 배수관설계
① 관경이 작을수록 구배는 크게 한다.
② 배수관의 관경 결정에 배관의 구배, 기구의 배수 부하단위, 기구수, 기구의 순간최대배수량 등은 영향을 주는 요소이나 위생기구의 크기는 아니다.
3. 트랩(Trap)
(1) 트랩의 설치목적
배수관 속의 악취, 유독 가스 및 벌레 등이 실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계통의 일부에 봉수를 고이게 하는 기구를 트랩이라 한다.봉수의 깊이는 트랩의 구경에 관계없이 50~100mm가 일반적이다.
(2) 배수트랩의 구비조건
①봉수가 확실하고 유효하게 유지되는 구조일 것
②구조가 간단하며 자기세정작용(자체의 유수로 배수로를 세정)을 할 것
③유수면은 평활하여 오수가 정체하지 않을 것
④재질은 내식성·내구성이 우수할 것
⑤가동부분이 조립체 또는 칸막이에 의하여 봉수를 형성하는 구조가 아닌 것
⑥청소 및 수리를 쉽게 할 수 있는 구조일 것
⑦배수의 흐름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
⑧뚜껑 있는 트랩은 뚜껑을 열었을 때 배수관의 하류 측으로부터 하수가스가 실내에 침입하지 않는 구조로 한다.
(3) 종류
① S트랩 : ㉠ 대변기,소변기 ㉡ 봉수가 쉽게 파괴
② P트랩 : ㉠ 세면기㉡ 벽체 내의 배수 입관에 접속하여 사용한다.
③ U트랩 : ㉠ 가옥트랩 또는 메인트랩, 배수횡주관 도중에 설치 ㉡ 공공 하수관에서의 하수 가스의 역류 방지용으로 사용
④ 드럼트랩 : 주방싱크(개수기)의 배수용 트랩
⑤ 벨트랩 : 설계기준(금지트랩) 플로어트랩(floor trap), 바닥배수용
⑥ 그리스트랩 : 호텔의 주방 등에서 기름기를 제거·분리
(4) 트랩의 봉수파괴 원인
①자기 사이펀 작용:배수시에 트랩 및 배수관은 사이펀관을 형성하여 만수된 물이 일시에 흐르게 되면, 트랩 내의 물이 자기 사이펀 작용에 의해 모두 배수관쪽으로 흡인되어 봉수가 파괴된다.
②유인 사이펀 작용(흡출작용):수직관에 접근하여 기구를 설치할 경우 수직관 상부에서 일시에 다량의 물이 낙하하면 그 수직관과 수평관과의 연결 부분에 순간적으로 진공이 생겨 트랩 내의 봉수가 흡인되는 작용을 말한다.
③분출작용(토출작용):수직관 가까이에 기구가 설치되어 있을 때 수직관 위로부터 일시에 다량의 물이 흐르게 되면 일종의 피스톤 작용을 일으켜서 하류 또는 하층기구의 트랩 봉수를 공기의 압축에 의하여 실내 측으로 불어내는 작용이다.
④모세관작용:트랩의 출구에 솜이나 천조각, 머리카락 등이 걸렸을 경우
⑤증발:위생기구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봉수가 자연히 증발한다.
⑥운동량에 의한 관성작용:강풍 또는 기타의 원인으로 배관 중에 급격한 압력변화가 일어난 경우에 봉수면에 상하 동요를 일으켜 사이펀 작용이 일어나거나 사이펀 작용이 일어나지 않더라도 봉수가 배출된다.
00:00 /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