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원격 농산물품질관리사 종합반

40차시 - 수분환경

  • 시작하기
  • 차시안내
  • 학습안내
  • OX퀴즈
  • 학습하기
  • 문제풀이
  • 정리하기
  • 차시예고
  • 1. 수분포텐셜의 의의
    - 단위량의 수분이 갖는 잠재에너지를 수분포텐셜이라고 한다.
    - 생체막을 포함하여 반투막을 사이에 두고 한쪽에는 물, 다른쪽에는 삼투압을 갖는 용액이 있을 때, 물이 용액쪽으로 발생하는 압력의 원동력
    - 어떤 상태의 물이 가지고 있는 화학퍼텐셜을 이용하여 수분의 이동을 설명하고자 할 때 도입된 개념이다.
    - 수분포텐셜은 그의 절대량을 측정할 수가 없으므로 어떤 기준점을 설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정의된다. 즉, 1기압 등온조건의 기준 상태에서 순수한 물의 수분포텐셜을 0으로 정하며, 용액의 수분포텐셜의 값은 0보다 낮은 음의 값을 갖게 된다.
    - 수분의 이동 : 낮은 삼투압에서 높은 삼투압 쪽으로, 높은 수분포텐셜에서 낮은 수분포텐셜 쪽으로 이동한다.

    2. 수분포텐셜의 구성
    ㉠ 수분포텐셜 = 압력퍼텐셜(팽압) + 삼투퍼텐셜(삼투압) + 매트릭스퍼텐셜 + 중력
    ㉡ 압력포텐셜 : 압력퍼텐셜은 팽압을 나타낸다. 즉 세포의 내압과 외압과의 차이
    ㉢ 삼투포텐셜 : 용질의 농도에 영향을 받는 삼투압
    ㉣ 매트릭스포텐셜 : 물리적인 부착력으로 교질물질과 식물세포의 표면에 대한 물의 흡착친화력에 의해 나타나는 에너지이다. 식물체 내 수분포텐셜에서 메트릭스포텐셜의 영향은 거의 없다.
    ㉤ 수분퍼텐셜의 힘에는 농도의 기울기, 용질의 양, 온도, 압력, 기질의 성질에 따라 달라진다.

    3. 흡수 기구
    ① 삼투압 ② 팽압 ③ 막압(膜壓) ④ 흡수압(DPD : Diffusion Pressure Deficit 확산압차) ⑤ 토양수분의 식물체내 이동 ⑥ 수동적 흡수 ⑦ 능동적 흡수

    4. 작물의 요수량
    작물의 건물(乾物) 1g을 생산하는 데 소비된 수분량(g)을 요수량이라고 한다.

    5. 공기습도
    ① 공기습도가 높으면 증산량의 감소로 뿌리의 수분흡수력이 적어지고 물질의 흡수와 순환이 약화된다.
    ② 포화상태의 공기습도에서는 작물체의 기공이 거의 닫히고 광합성이 쇠퇴하여 건물 생산량이 감소한다.
    ③ 공기습도가 높으면 표피가 연약해지고 낙과와 도복의 원인이 된다.
    ④ 공기가 다소 건조할 때 동화양분의 전류가 촉진된다.

    6. 벼의 용수량
    용수량이란 벼 재배기간 중 관개에 소요되는 수분의 총량을 말한다.

    7. 작물의 내습성
    - 작물이 과습한 토양에 견디는 특성
    - 채소작물의 내습성 : 양상추 > 양배추 > 토마토 > 가지 > 오이

    8. 한해(旱害 가뭄해)
    한해(가뭄해)란 오랫동안 비가 적게 내려 토양 중의 수분이 부족해져 작물의 생육이 나빠지거나 심하면 말라 죽게 되어 일어나는 피해를 말한다.

    9. 내건성
    내건성이란 식물이 한발(가뭄)에 견딜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00:00 / 00:00

    7

    MEMO X